민주평통상하이협의회
제11회 청소년 통일축제 ‘골든벨-글짓기-사생대회’ 5월13일 개최 “평화통일의
함성”
2013년부터 매년 청소년통일축제 개최, 작년 온라인-금년 오프라인 행사 개최
상해-무석-소주한국학교
등 화동지역 초중고등학교 청소년 400여명 함께 참석
설규종 민주평통 부의장, 조홍선 상해총영사관 교육영사 및
한인단체대표 참석
통일 골든벨-글짓기-사생대회 3개 부문 총75명 시상 및 평화통일 장기자랑 공연
통일 골든벨 수상자 중 2명은 금년 7월 한국에서 개최 예정인 본선 대회 출전
이동한 상하이협의회 회장 “평화통일 공감대확산 역량결집”“담대한 첫걸음, 통일로 한걸음! 한반도 평화의 시대 실현”
[아래사진: 민주평통상하이협의회 제11회
청소년통일축제 ‘통일 골든벨-글짓기-사생대회’ 2023.05.13토, 장소: 상해한국학교]▲제11회 청소년 통일축제 참석자 단체 기념촬영
▲통일골든벨 예선
▲통일골든벨 ‘최후의 2인’
▲대상 시상식(사진 왼쪽부터) 골든벨, 글짓기, 사생대회 수상자
▲통일사생대회 참가자
현장
▲’평화통일 장기자랑’ 공연
▲’평화통일 장기자랑’ 태권도 공연
▲통일 글짓기 대회 수상자
작품 전시
▲’제11회 청소년 통일축제’
흥겨운 응원
▲제11회 청소년 통일축제 후원 협찬
대통령 직속 헌법자문기관인 민주평통상하이협의회(회장 이동한)는 5월13일(토) ‘제11회 청소년 통일축제(통일 골든벨-글짓기-사생대회)’를 상해한국학교에서 개최하고 평화통일 공감대 확산에 역량을
결집했다.
2013년
제1회 청소년통일축제를 개최한 민주평통상하이협의회는 그동안 매년 화동지역 한국학교와 상해매헌기념관 등에서
행사를 진행하였다.작년은 중국지역 코로나19 방역 지침 준수를 위해 온라인 방식으로 규모를 축소하여 진행하였으나, 금년에는
청소년 400여명이 참석하여 오프라인으로 대회를 개최하였다.
이동한 민주평통상하이협의회 회장은
“2년 만에 오프라인 행사를 개최할 수 있도록 협조하여 주신 상해-무석-소주한국학교, 후원 협찬을 하여주신 공공기관-한인단체-기업인 및 평통자문위원 여러분께 감사를 드린다”면서 “제20기 민주평통
자문위원 임기가 종료되는 금년 8월말까지 평화통일 사업을 꾸준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민주평통상하이협의회 2013년부터 매년 청소년통일축제 개최, 작년 제10회 대회 온라인 개최
민주평통상하이협의회(회장 이동한)는 2013년 최초로 제1회
청소년 통일축제를 개최하여 매년 행사를 이어오고 있다.2017년 제5회
청소년통일축제는 처음으로 상하이가 아닌 강소성 소주한국학교에서 개최하였으며, 2018년 제6회 청소년통일축제는 상해한국학교에서 열렸다.
2019년 5월 개최한 제7회 청소년통일축제는 ‘3.1절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으로 독립운동 정신이 깃들어 있는 상해 매헌기념관에서 개최하였다. 제7회 대회는 약 600여명의 학생과 학부모, 평통 자문위원 등이 참여하여 역대 최대 규모 행사로 기록되었다.
하지만, 2020년 10월
열린 제8회 청소년통일축제는 당초 무석한국학교에서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영향에 온라인 대회로 진행하였다.2021년 6월 개최된
제9회 청소년통일축제는 상해한국학교에서 개최하였으며, 작년 2022년 제10회 대회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온라인으로 열렸다.
금년 제11회 청소년통일축제(통일골든벨-글짓기-사생대회) 개최, 상해-무석-소주 한국학교
초중고 청소년 및 학부모 등 400여명 참석 상해한국학교에서 개최민주평통상하이협의회는 금년 5월13일(토)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상해한국학교(교장
김장호)에서 제11회 청소년통일축제를 개최하였다.행사에는 설규종 민주평통 중국지역회의
부의장, 조홍선 상해총영사관 교육영사, 이준용 상해한국상회
회장, 박상권 월드옥타상해지회 회장, 조형무 화동연합회 부회장, 김장호 상해한국학교장, 박정표 무석한국학교장, 정용호 소주한국학교장, 한인단체대표를 비롯하여 청소년과 학부모 등 400여명이 참석하였다.
이번 대회는 통일 골든벨-글짓기-사생대회 3개 부문으로 진행하였으며,
학생들의 ‘평화통일 장기자랑’도 무대에서 선보여
청소년이 평화통일로 하나되는 축제로 거듭났다.
통일골든벨 행사는 상해한국학교 실내체육관에서 진행하였으며, 글짓기
대회는 사전 작품을 접수하여 수상자를 선정하였고, 사생대회는 학교 행사장 현장에서 실시하였다.
오전 10시에 시작된 1부
개막식 행사는 민주평통상하이협의회 김대원 부회장, 2부 통일골든벨과 통일장기자랑은 은명주 자문위원, 3부 시상식은 장태국 분과위원장의 사회로 행사가 진행되었다.통일골든벨 문제는 O/X 문제와 주관식 문제 등 평화통일에 대한 다양한 내용이 출제되었다.통일 골든벨 대상 및 우수상 수상자는 금년 7월
한국에서 개최 예정인 본선 대회 출전하여 한국을 비롯한 해외지역 청소년들과 실력을 겨룰 예정이다.
오후 3시까지 1시간30분 동안 진행된 ‘평화통일 장기자랑’은 상해-무석-소주 한국학교
학생들이 참여하여 합창, 태권도, 무용 등 다양한 공연을
연출하며 박수를 받았다.
이동한 민주평통상하이협의회 회장은
“바쁘신데도 불구하고 함께 참석하여 주신 상해-무석-소주한국학교 교장선생님과 교직원 분들의 협조에 감사를 드린다”고 말하면서
“앞으로도 중국지역에 평화통일 공감대 확산을 위해 더욱 역량을 결집하겠다”고 밝혔다.
2023년 제11회
청소년통일축제 수상자 명단(총75명)
1.통일골든벨(3명):대상:상해한국학교 임서현(10),
우수상:상해한국학교 박서웅(11), 장려상:무석한국학교 김태우(9)
2.통일글짓기(초-중-고 총47명 수상)
<고등부
15명>
대상:소주한국학교 김동현(11),
우수상:상해한국학교 김주하(10)-임서현(10),
장려상:무석한국학교 이아영(12)/공유찬(11),
상해한국학교 박서진(10), 입선:상해한국학교 서형규(10)/고은서(11)/김윤채(11)/오병준(12)/김성은(12), 무석한국학교 유시원(11)/강수빈(11)/권나영(10),
소주한국학교 박세현(11)
<중등부
15명>
대상:상해한국학교 이하진(9),
우수상:상해한국한교 박성연(7)/박나연(7),
장려상:상해한국학교 백서윤(7)/정다현(9),
무석한국학교 김민지(9), 입선:상해한국학교 이서윤(7)/최희윤(7)/이현지(8)/김나진(7)/윤태후(7)/이수민(7), 무석한국학교
공은서(9)/류은성(7), 소주한국학교 방혜성(8)
<초등부
고학년 15명>
대상:무석한국학교 김윤지(6),
우수상:소주한국학교 김슬우(4)/엄도형(4),
장려상:상해한국학교 이지후(5), 무석한국학교 김주아(6), 소주한국학교 전하선(6), 입선: 상해한국학교 이우엽(6)/윤지훈(5), 무석한국학교 윤영빈(4)/박혜림(6), 소주한국학교 신예나(4)/전하은(4)/김태준(5)/김슬찬(4)/이정현(4)
<초등부
저학년 2명>
장려상:소주한국학교 전하린(1)/우주완(2)
3.통일사생대회(초등부 총25명 수상)
대상:상해한국학교 여운나(4),
소주한국학교 엄정현(3), 우수상:상해한국학교 신윤재(3)/박지소(2), 무석한국학교 박채원(6)/남서연(4), 장려상:상해한국학교 이서연(5)/심건우(5)/강태휘(1), 소주한국학교
신예준(1) 입선:상해한국학교 박온유(6)/문미아(5)/류설(5)/배도윤(3)/이건우(2)/이성아(1)/최유호(1)/문지완(1)/김윤정(1), 무석한국학교 문혜영(4)/조승연(4), 소주한국학교 이주혜(4)/신예나(4)/강승리(2)/고유진(1)**수상자 명단 문의사항: 민주평통상하이협의회
강동혁 간사(+86-135-8569-2959)
이달 기자
ⓒ 상해한인신문 shkonews@naver.com
http://blog.naver.com/shkonews
www.shkonews.com
중국 상하이 화동지역코웨이공기청정기 정수기 연수기"당신에게 지금 필요한 물!이젠 중국에서도 안전하게!"매장주소:上海市闵行区虹泉路1000号井亭大厦상해사무실: 021-6446-6890,상해매장: 189-1851-3310소주: 139-1310-1909,무석: 151-6151-5680가흥: 189-1851-3310,곤산,염성: 186-2625-4644
글로리제이GloryJ기업관리센터
세무회계 대행,단원조합 컨설팅주식 융자,상장 컨설팅,자금조달上海市闵行区申滨路36号T4号楼3楼MARIA@GIANTJ.COM연락처: +86-139-1823-3686
중국 상해 남영한국주방용품
주방설비/식당용품/주방용품/생활용품 등한국식당 납품 전문 및 주방용품 도매 전문 업체핸드폰:131-2782-1458/158-2175-7237전화:021-5476-3775주소:上海市闵行区虹泉路1000号井亭大厦1楼(홍췐루 매장)
반석부동산PSI(PS INTERNATIONAL)주택 임대/매매/분양+86-21-6270-0915오피스/상가+86-21-5441-2701한국자산관리컨설팅
[특별 인터뷰]
정용호 소주한국학교 교장 “금년 개교 10년, 지성과 인성 갖춘 글로벌 인재 양성”
소주한국학교 2014년 임대학교 개교, 2016년 신축학교 이전, 2017년 건물 준공
정용호 교장 2022년3월 4대 교장 부임, 방과후 자기주도학습 등 교육 혁신 추진
HL만도그룹 및 기업인교민 학부모 ‘방과후 자기주도학습 통학차량
구입비’ 기금 후원
이상철 법인이사회 이사장 및 이사진-운영위원회-학부모회 등 학교구성원 협력 강화
“금년 3월 서울대 입학생 배출, 실력 있고 예의 바른 학생 양성토록 교직원 노력”
정용호 교장 “다문화 가정자녀 맞춤형 교육 추진 등 다양한 교육과정 개발 전념”
▲소주한국학교(苏州韩国学校), 교훈 ‘배움과 실천으로 미래를
여는 세계 속의 한국인’
▲HL만도그룹(HL Mando소주, 万协会转向分科, 한라정밀소주) 14만위안 발전기금 기부 <방과후 자기주도학습 통학차량 구입비 후원> 2022년11월11일
▲중고등학생 <방과후
자기주도학습>, 장소: 학교 도서관
▲동아리 활동 (사진 왼쪽부터) 프리메타버스, 메이커공감
▲미소(美苏 아름다운 소주한국학교) 축제학생 공연,장소: 학교 시청각실
▲소주시 오강실험소학교(吴江实验小学)와 스포츠 교류활동, 장소: 학교 실내체육관
▲한중수교 30주년 기념 ‘제6회 주선양총영사배 태권도대회’ 우수단체상
수상(금메달 15개, 은메달 6개, 동메달 10개) 시상식, 장소: 학교 1층 현관
▲초등학교 수학여행, 장소: 상해시 와이탄 황포강
유람선
▲정용호 교장과 교직원 기념사진, 장소: 학교 운동장
▲정용호(郑龙浩) 소주한국학교 제4대 교장
대한민국 교육부 교육연구관 역임북경한국학교 교장 역임(2013.3~2016.2)
전라남도교육청 장학관 역임(2017.3~2018.2)
서울시교육청 고척고등학교 교장 역임(2018.3~2022.2)2022년 3월~현재, 중국 강소성 소주한국학교 교장
‘하늘에
천당, 땅에는 소주(苏州)’라는 말처럼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자랑하는 강소성 소주시(江苏省苏州市)에 소재한 소주한국학교를 5월10일 방문하여 정용호(郑龙浩) 교장과 특별인터뷰를 진행했다.
정용호 교장은 1987년 수학교사로 임용되어 일선 학교 근무를 시작으로 2023년 5월 현재까지 37년간 교육현장에서 헌신하며 학생들과 함께하고 있다.대한민국 교육부 교육연구관, 북경한국학교 교장, 전라남도교육청 장학관을 거쳐 서울 고척고등학교
교장을 역임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험을 축적하고 2022년 3월
소주한국학교 제4대 교장으로 부임한 ‘교육 전문가’이다.
“2022년 3월 소주한국학교 교장으로 부임하면서 ‘교육계 정년퇴임을 3년 앞두고 그동안 쌓았던 경험을 결집하여 소주한국학교에서 마지막까지 헌신을 하겠다’는 마음을 가지고 다시 중국에 부임하였다”고 말했다.
정용호 교장은 “작년 상반기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교육활동에 제약이 많았다. 작년 하반기부터 <중고등학생 방과후 자기주도형 학습>을 도서관 공간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성과를 내고 지금까지 지속하고 있다”면서
“금년 3월 서울대학교 입학생을 2년 만에 다시 배출할 수 있는 결실도 맺었다”고 소개하였다.
정 교장은 “이상철 이사장님을 비롯한 이사진, 운영위원회와 학부모회 등 학교구성원들의
적극적인 협력에 감사를 드린다. 다양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실력 있고 예의 바른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도록
교직원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22년3월
정용호 소주한국학교 교장 부임 “중고등학생 방과후 자기주도 학습 운영 시작” “서울대학 입학생 배출” 등 교육 성과 달성정용호 교장은 2022년 3월1일 소주한국학교(苏州韩国学校) 제4대 교장으로 부임하며 2013년 북경한국학교 교장 부임에 이어 두번째
중국지역 한국학교 교장 부임이라는 특별한 기회를 만들었다.
“저는 10년 전에
북경한국학교 교장으로 근무를 했었다. 2025년 교육계 정년 퇴임을 앞두고 있다. 교장 임기를 한국에 있는 고등학교에서 마칠 수도 있었으나, 소주한국학교에
근무하면서 중국지역 한국학생을 위해 한번 더 헌신하자는 각오로 부임을 결정하였다”
“작년 소주한국학교에 부임하였을 당시, 코로나19 방역 지침에 의해 입국 이후 격리를 실시하고 학교 첫
출근 당시를 잊을 수 없다. 운동장과 실내체육관, 다목적
시청각실, 도서관, 식당,
독도체험관 등 학교 시설은 해외지역 34개 한국학교 중에서도 가장 큰 규모였다”
“작년
하반기부터 코로나 방역 규제가 조금씩 완화되면서 <중고등학생 방과후 자기주도형 학습>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기존 도서관 공간이 쾌적하게 구비되어
있었기에 시설을 조금 보완하여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저녁 10시까지 공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금년 3월
서울대학교 입학생을 배출하면서 2021년에 이어 소주한국학교 2호
서울대 입학생이 나오는 성과를 얻을 수 있어 기쁘게 생각한다”고 정용호 교장은 설명했다.
HL만도그룹 및 기업인교민 학부모 ‘방과후 자기주도학습 통학차량 구입비’ 기금 후원 “이상철 이사장 및 이사진-운영위원회-학부모회 등 적극적인 지원과 협조에 감사” “작년 학교발전기금 80만위안 모금”
“작년 하반기에 ‘방과후
자기주도학습’을 운영하면서 학생과 학부모들로부터 많은 호응을 받았다”
“하지만, 자기주도형
학습이 저녁 10시에 끝나면 집으로 돌아갈 수 있는 교통편이 없어서 어려움을 겪었다”
“이상철
이사장님과 이사님들, 운영위원회와 학부모회 등에서 도움을 주시고,
HL만도그룹기업과 기업인교민이 함께 후원하여 통학버스 1대를 구입하여 운영하게 되었다”
“특히 이상철 이사장님을 비롯한 학교 구성원들이 많은 노력을
해주셔서 작년에 학교 발전기금 모금액 80만위안(한화 약1억5천만원)을 달성하였으며
학교 운영에 큰 힘이 되고 있다”
“또한 법인이사회 이사님의 경우, 학교 건물 방수처리 공사를 직접 해주시는 후원도 해주시는 등 학교에 대한 지속적인 후원에 감사를 드린다”고 덧붙였다.
중국지역 한국기업 철수 및 한국교민 감소로 재학생 감소 “유치원-초등-중등-고등부 학생
학력신장과 동아리 활동 확대” “다문화 가정자녀 맞춤형 교육 추진 등 다양한 교육과정 개발” “한국 대학교 진학 위한 대학입시 전문상담”“중국에는 13개
한국학교가 운영되고 있다. 대부분 학교들의 가장 큰 고민은 재학생 숫자가 감소하는 것이다”
“소주한국학교도 다른 중국지역 한국학교와 비슷한 상황이다. 코로나19 이전에 400명이
넘었던 학생수가 금년 5월 현재 338명으로 15%가 감소했다”
“학급은 18개 학급이며, 교직원 54명을 포함하면 392명
규모로 운영하고 있다. 학생수가 감소하면 학교운영이 어려움에 처한다”“입학생과
재학생이 감소하지 않고 증가할 수 있도록 유치원-초등-중등-고등부 학생들의 학력 신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학생들이 실력을 갖추고 다양한 동아리 활동을 할 수 있도록 22개 정규동아리 및 24개 자율동아리 활동을 활발하게 유지하고 있다”
“다문화
가정 자녀 비율이 초등부의 경우 15% 이상을 차지한다. 다문화
학생 비중은 앞으로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한다. 다문화 학생들이 학교에 안정적으로 정착하도록 맞춤형
교육을 개발할 계획이다”
“또한 작년의 경우, 코로나19 확산으로 대외교류활동에 제약이 발생하여 활동이 위축되었다. 금년에는
중국학교와 교류활동을 더욱 확대하고, 대내외 교류활동을 추가하여 학생들이 다양한 경험을 하도록 추진할
예정이다”
“한국 대학교 진학에 있어 학생들이 자신들의 특성에 맞게 대학입시
전문상담을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게 업무를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용호 교장 “해외지역
대표하는 글로벌 인재 양성, 명품 학교 추진” “소주한국학교에
지속적인 관심과 협조 당부”
“소주한국학교에 재학하는 학생들은 영어와 중국어를 배우고 다양한
중국문화를 경험하며, 중국학교 및 국제학교 등과 많은 교류를 하며 글로벌 인재로 성장하는 기회를 갖고
있다”
“학생을
교육하는 한국인 교사와 영어-중국어 원어민 교사 등 실력 있는 교사들을 초빙하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처음 입학하여 한국어 수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수업 과정에 한국어 집중 교육과정을 도입하도록 준비하고 있다”“소주한국학교는 2014년 3월 임대학교로 개교하여,
2016년 학교 건물을 신축하여 이전하였고 2017년 학교 건물 준공식을 개최한 자랑스러운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학교에 출근하면서 건물 1층
현관에 전시된 ‘사랑의 벽돌쌓기 모금’에 기재된 기업인과
교민동포들의 명단을 보며 학교를 위해 기금모금에 참여하여 주신 분들의 열망을 기억하고 있다”
“금년 개교 10년을
맞아 소주한국학교가 해외지역을 대표하는 글로벌 인재 양성, 명품 학교가 되도록 교직원들이 함께 힘을
모으겠다”
“소주한국학교는
소주시를 비롯하여 인근 강소성(江苏省)과 절강성(浙江省) 등 지역에 거주하는
한국인 학생들도 입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입학이나 전학을 희망하는 학부모님께서는 언제든지 전화(초등: +86-185-2622-0713, 중고등: +86-155-8840-0861) 하시면 상담을 받을 수 있다”
정용호 교장은 인터뷰를 마치면서 “지난 10년 동안 많은 도움을 주신 법인이사회와 운영위원회, 학부모회 및
기업인과 교민, 지역한인사회에 다시 한번 감사를 드린다”면서 “앞으로도 소주한국학교가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매년 5월15일은
한국 ‘스승의 날’이다.소주한국학교 학생들의 재외교육을 위해 헌신하는 정용호 교장과 교직원, 이상철
법인이사회 이사장과 이사진 및 운영위원회-학부모회 등 학교 구성원 모두에게 ‘스승의 날’에 즈음하여 건강과 행복이 함께 하길 기원한다.
이달 기자
ⓒ 상해한인신문 shkonews@naver.com
http://blog.naver.com/shkonews
www.shkonews.com
글로리제이GloryJ기업관리센터
세무회계 대행,단원조합 컨설팅주식 융자,상장 컨설팅,자금조달上海市闵行区申滨路36号T4号楼3楼MARIA@GIANTJ.COM연락처: +86-139-1823-3686
중국 상하이 화동지역코웨이공기청정기 정수기 연수기"당신에게 지금 필요한 물!이젠 중국에서도 안전하게!"매장주소:上海市闵行区虹泉路1000号井亭大厦상해사무실: 021-6446-6890,상해매장: 189-1851-3310소주: 139-1310-1909,무석: 151-6151-5680가흥: 189-1851-3310,곤산,염성: 186-2625-4644
국내복귀기업 지원제도(산업통상자원부, KOTRA)해외진출 우리기업의 성공적인 국내복귀를 지원합니다국내복귀기업 지원사항/선정요건,구조조정컨설팅 지원KOTRA유턴지원팀(국내복귀기업지원센터)연락처: +82-2-3460-7361~4reshoring@kotra.or.kr
상해 키친프라이드 한국 주방용품업소용 주방용품,식당 주방용품,푸드카 전문 제작연락처: +86-21-3358-1476+86-155-0218-8403 / 155-0218-8493上海市闵行区吴中路1780号洋广场后栋2楼
이창호 제성그룹 회장 <꿈꾸는엔지니어> 책자 출간 ‘좌절과 실패, 도전과
희망의 기록’
경상북도 봉화 산골에서 태어난 ‘촌놈 흙수저’ 이창호 회장의 자전적 이야기 출간
‘산골촌놈’ ‘현대중공업’
‘굴삭기’ ‘중국’ ‘제성유압’ ‘사업보국’ ‘고향가족’ ‘나눔
실천’
민주평통 상하이협의회장-중국부의장-운영위원 역임 ‘2020 국민훈장 동백장’수상
상해-소주-광저우
한국학교 발전기금 후원, 중국 및 한인사회 공헌활동 적극지원
“길이 없으면 길을 만들고, 사회적 약자에 노블레스 오블리주
실천”
이창호 회장 “젊은 청년들에게 꿈과 희망, 용기를 주는 기회 되길”
[아래 사진: 이창호 제성그룹 회장
<꿈꾸는 엔지니어> 책자 표지, 도서출판
풀잎]▲<꿈꾸는 엔지니어> 좌절과 실패 그리고 도전 희망의 기록, 이창호의 눈물 분투기
▲<꿈꾸는 엔지니어> 인터넷 포털사이트 검색 구입 가능
[아래 사진: 이창호
제성그룹 회장, 주요 활동 사진]
▲2015년4월12일, 민주평통상하이협의회
주최 제3회 청소년통일축제, 장소: 상해 매헌 윤봉길의사 기념관
▲2015년10월26일, 민주평통 중국지역회의
주최 ‘광복 70주년 세계한인청소년 1만5천리 통일염원 임시정부 대장정 출정식, 장소: 중국 요령성 뤼순 안중근의사 순국 유적지
▲2017년12월8일, 소주한국학교
건물 신축 준공식에서 이창호 회장의 호를 뜻하는 은봉루(隐峰楼) 제막식 거행
▲상해대한노인회 어르신들께 오찬 대접 및 후원금 지원
▲<국민훈장 동백장> 수여식(2020년 11월5일 서울 백범김구기념관)
이창호 제성그룹 회장이 “젊은 청년들에게 꿈과 희망, 용기를 줄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하면서 <꿈꾸는 엔지니어> 책자를 5월12일 출간하였다.
‘도서출판 풀잎’에서
출판한 <꿈꾸는 엔지니어>는 300페이지가 넘는 분량으로 ▲경상북도 봉화군
산골, ▲현대중공업과 굴삭기, ▲중국 대륙에서 도전, ▲제성유압, ▲사업보국, ▲고향 가족, ▲나눔실천 등 이창호 회장이 눈물을 삼키며
살아온 이야기를 오롯이 담아냈다.
이창호 회장은 민주평통 상하이협의회가 처음 설립된 2011년 7월부터 2015년 6월까지 4년 동안 제15기-제16기 상하이협의회장, 2015년 7월부터 2년간 제17기 민주평통 중국지역회의 부의장, 2019년 9월부터 제19기
민주평통 운영위원으로 위촉되어 한반도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여 주목을 받았다.
이창호 제성그룹 회장은 청소년을 위한
활동에도 남다른 공헌을 해왔다.
대한민국임시정부 시기 독립운동 선열들이 상해에 세웠던 인성학교에 뿌리를 두고 있는 상해한국학교 학생들을
위해 장학금을 비롯하여 점심식대, 스쿨버스비 지원 및 컴퓨터실 지자재 일체 후원, 학교 운동장 잔디교체 등에 거액을 지원하였다.
강소성 소주한국학교 건물신축을 위한 건립기금 및 광동성 광저우한국학교 건립기금도 흔쾌히 기부하였다.소주한국학교는 2017년 12월8일 중국지역
한인사회 최대 숙원사업이었던 학교 건물 신축 완공을 기념하는 ‘소주한국학교 준공식’에서 이창호 제성그룹 회장의 호를 뜻하는 은봉루(隐峰楼) 현판식을 거행하며 그 뜻을 기렸다.
한국 모교인 경북 봉화중고등학교에도 장학금과 학교발전기금 및 도서 책자 등을 기부하면서 고향 후배들에게
용기를 주었다.특히 코로나19 확산이 시작되었던 2020년 3월말 대한적십자사를 통해 경북도에 전달되도록 쌀국수 6천 셋트를 기증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들에게 힘을 보탰다.
2008년에는
중국 사천성 지진피해 복구기금을 기부하였으며, 2011년 일본 지진피해 복구기금도 억대 이상의 금액을
전달하였고, 중국지역 양로원-고아원-독거노인 등에게도 지속적인 후원을 펼쳤다.
또한 중국인 로컬학교와 국제학교에도 장학금을 후원하였으며, 화동연합회와
상해한국상회 등 한인단체가 주관하는 외부 행사에도 도움을 주어 한인동포사회가 안정적으로 발전하고 중국사회와 교류를 증진하는데 지속적인 역할을 해왔다.
특히 상해에서 활동하는 상해대한노인회 어르신들에게는 매년 설날과 추석 명절을 즈음하여 주기적으로 식사를
대접하고 선물과 후원금을 전달하는 등 경로효친을 몸소 실천하였다.
이창호 제성그룹 회장은 <꿈꾸는 엔지니어> 책자를 출간하면서 “코로나19
방역 규제가 해제되어 중국지역 한인기업들이 다시 활기를 찾고 있다고 들었다”면서 “용기를 잃지 마시고 이웃들과 함께 손잡고 협력하면서 희망찬 내일을 만들도록 힘을 냅시다”고 밝혔다.
한편, 이창호 회장은 그동안 남다른 기업활동과 사회적책임을 통해
지식경제부장관 표창(성공적인 해외투자인), 상해시송강구정부
표창(사회공헌), 대한민국정부 국민포장(국민교육발전 유공자), 상해시정부 백옥란상(상해시 사회발전 공헌 외국인), 대통령표창(광복70주년 국가사회발전 공로), 국민훈장
동백장 등을 수상하는 결실을 거뒀다.
5월12일 출판된 <꿈꾸는 엔지니어> 책자는 인터넷 포털사이트에서 검색 후
온라인 구입을 하면 한국지역 어디서든 책을 받아볼 수 있다.
아래는 <꿈꾸는 엔지니어> 책자 주요 내용이다.
<목차>
들어가기 전에
도전과 꿈의 여정, 아무도 가지 않은 길 6
1장-산골
촌놈의 꿈
1.누나의 편지 19 / 2.서울의
충격 22 / 3.”딱 한 번만 믿어주세요” 27
4.공무원 시험 낙방 32 /
5.김천 직업훈련원과 두 개의 자격증 34 / 6.잊지 못할 모교 선생님 39
2장-굴삭기
인생
1.나의 첫사랑, 현대중공업 43 / 2.잃어버린 첫 월급 45 / 3.검은 줄의 계급장 49
4.왕 회장의 발길질 51 /
5.굴삭기와의 첫 인연 53 / 6.공포의 전화벨 소리
56
7.정글 속의 해외 출장 59
/ 8.폐기장에서 찾은 해법 63 / 9.영등포의 장인(匠人)들 68
3장-중국에
발을 딛다
1.갑자기 난 중국 발령 73
/ 2.사장을 꿈꾸며 사표를 내다 77
3.나의 첫사랑 현대여, 안녕 81 / 4.아버지와 어머니, 왕 회장에게 고한 꿈 85
4장-두
번의 사기 사건
1.금덩어리에 눈멀다 95 /
2.두 업자의 정교한 농간 101
3.가족들의 고통 104 / 4.나는
엔지니어, 사랑하는 기계가 있다 107
5장-맨주먹으로
대륙을 누비다
1.중국인과의 동업 111 /
2.거대한 돌부리, 현대중공업의 선전포고 113
3.끼니도 굶고 출장, 출장, 출장 116 / 4.첫 주문의 감격 119
5.굴삭기 굴기(屈起)의 꿈 124 / 6.우분투(UBUNTU)
정신 126
6장-중국
시장에 우뚝 서다
1.제성유압의 탄생 133 /
2.화양연화(花樣年華)의 시절, 저절로 웃음이 나오다 137
3.창립 10주년의
뜨거운 눈물 142 / 4.제성유압 굴기의 공신, 제성의
가족들 145
7장-중국
굴기의 비결
1.꽌시(關係) 153 / 2.만만디(慢慢的) 157 / 3.지피지기(知彼知己) 159
4.기술 161 / 5.책임
정신 166 / 6.중국어 173
8장-제성유압의
홀로서기
1.일치일란(一治一亂)의 롤러코스터 177 / 2.깐깐해지는 중국 고객 179
3.과욕의 대가 185 / 4.기술
자강의 꿈, 한국 기업 인수 187 / 5.연구소 설립의
명암 189
9장-사업보국(事業報國)의 꿈
1.중국 시장의 무서운 추격
193 / 2.제성유압의 기로 195 / 3.어린 시절의 꿈, ‘중국판 롯데’ 198
4.하이컨(HYCON), 대구에
심은 꿈 201 / 5.거미줄 같은 규제의 복병들 204
6.인재들의 배신 209 / 7.석
달간의 고뇌, 그리고 결단 212
8.대구 공장에서의 마지막 술잔 214 / 9.술렁이는 상해 216
10장-새로운
꿈을 찾아
1.방향 전환 219 / 2.사업은
나의 운명 221 / 3.중국 제성유압의 내일 226
4.다시 손잡은 중국 친구들
233 / 5.차세대 꿈나무를 찾아라 235 / 6.이창호의 귀거래사(歸去來辭) 238
11장-나의
살던 고향은
1.봉화 산골 내 고향 243
/ 2.온 동네가 한 가족 246 / 3.돼지 오줌보 축구공 248
4.아, 나일론 바지여 251 / 5.내려앉은 구들장 253 / 6.공부 빼고는 다했다 256
12장-그리운
우리 가족
1.연하 아버지, 연상
어머니 261 / 2.빚보증과 노름, 그리고 술 265 / 3.여름 농부, 겨울 광부 268
4.어머니의 공휴일 270 /
5.어머니가 남긴 고향의 맛 275 / 6.동네의 자랑,
우리 누나 277
13장-나눔
정신과 실천
1.돈의 두 얼굴 281 / 2.밑바닥에서
배운 나눔 정신 284 / 3.똘망똘망한 눈망울 앞에서 287
4.중국의 이웃과 아픔을 나누며 290 / 5.위안부 할머니를 위한 의무 293 / 6.어르신에 대한
보답 296
7.고향 봉화의 후배들을 위하여 299 / 8.다시 만난 친구들과 선생님 301 / 9.1만5천리 임시정부 대장정 306
에필로그
꿈은 영원하다 313
이달 기자
ⓒ 상해한인신문 shkonews@naver.com
http://blog.naver.com/shkonewswww.shkonews.com
중국 상하이 화동지역코웨이공기청정기 정수기 연수기"당신에게 지금 필요한 물!이젠 중국에서도 안전하게!"매장주소:上海市闵行区虹泉路1000号井亭大厦상해사무실: 021-6446-6890,상해매장: 189-1851-3310소주: 139-1310-1909,무석: 151-6151-5680가흥: 189-1851-3310,곤산,염성: 186-2625-4644
글로리제이GloryJ기업관리센터
세무회계 대행,단원조합 컨설팅주식 융자,상장 컨설팅,자금조달上海市闵行区申滨路36号T4号楼3楼MARIA@GIANTJ.COM연락처: +86-139-1823-3686
중국 상해 남영한국주방용품
주방설비/식당용품/주방용품/생활용품 등한국식당 납품 전문 및 주방용품 도매 전문 업체핸드폰:131-2782-1458/158-2175-7237전화:021-5476-3775주소:上海市闵行区虹泉路1000号井亭大厦1楼(홍췐루 매장)
반석부동산PSI(PS INTERNATIONAL)주택 임대/매매/분양+86-21-6270-0915오피스/상가+86-21-5441-2701한국자산관리컨설팅
梅轩尹奉吉义士上海义举91周年纪念仪式‘매헌 윤봉길의사 상해의거 91주년 기념식’ 4월28일
개최 “상해에 핀 매헌의 불꽃” “한중 우호협력”
코로나 영향, 2019년
89주년 기념식 이후 4년 만에 한국 매헌기념사업회 참석
작년 90주년 의거기념식,
상해지역 도시봉쇄로 행사 취소, 2년 만에 상해 개최명노승 매헌기념사업회 회장, 김영준 총영사, 상해시 홍구구정부 등 시민 참석
한국 역사청소년합창단 기념공연, 제19회 한글백일장 대회 수상자 시상식 거행
상해 매헌기념관 2003년 개관 이후 140만명 한중 국민 방문, 한중우호협력 상징
丈夫出家生不還 영원한 청년 윤봉길의사 “91년전 숭고한 독립정신 계승”
[아래 사진: 매헌 윤봉길의사 상해의거 제91주년 기념식, 상해 매헌기념관
2023.04.28]▲상해 매헌기념관 기념식
▲윤석열 대통령 기념화환
▲국민의례
▲<약전봉독> 이성섭 기념사업회 상임이사
▲<기념식사> 명노승 기념사업회 회장
▲<기념사> 사진왼쪽부터, 장징윈(张静韵) 홍구구인민정부 판공실 부주임, 김영준
주상하이총영사, 김종호 기념사업회상해지부 회장
▲한국 역사청소년합창단 공연, 곡명
‘윤봉길의사 노래’ ‘모리화’ ‘아리랑’
▲<헌화 및 참배> 정희천 기념사업회상해지부 1대/4대 회장, 장종섭 기념사업회상해지부 2대/3대 회장
▲기념식 참석자 단체 기념촬영
한국과 중국 양국 국민들에게 ‘항일영웅(抗日英雄)’으로 기억되고 있는 ‘25세 영원한 청년의사’ 매헌 윤봉길의사 상해의거 91주년 기념식이 4월28일(금) 상해 매헌기념관(梅轩纪念馆)에서 한중 공동으로 개최되었다.
4월29일이 의거 기념일이지만, 중국 노동절 연휴가 4월29일(토)부터 5월3일(수)까지 5일간 이어져
하루 앞당겨 기념식이 열렸다.
사단법인 매헌윤봉길의사기념사업회(회장 명노승)가
주최하고 기념사업회상해지부(회장 김종호)가 주관하였으며, 대한민국 국가보훈처와 주상하이대한민국총영사관, 상해시홍구구국제교류중심, 동아일보사가 후원하여 열렸다.
코로나19 영향으로 2019년 89주년 기념식이 개최된 이후 4년 만에 한국 매헌기념사업회 임원들을
비롯한 53명 대표단이 상해를 직접 방문하여 행사에 참여하여 더욱 의미를 더했다.
또한 작년 90주년 의거 기념식은 상해지역 도시 봉쇄로 행사가 취소되었으며, 2년 만에 다시 상해에서 거행되어 한중 양국 정부와 지자체 공공기관, 기업인, 한인동포 등이 참석하며 주목을 받았다.
1932년 4월29일, 매헌 윤봉길의사 상해의거..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독립운동을 세계에
알린 역사적 의거
매헌 윤봉길의사(1908.6.21~1932.12.19)는 충남 예산에서 출생하였다. 1919년 3.1 독립운동이 일어나자 일제의 식민교육을 배척하여 학교를 자퇴하고, 사설
서당인 ‘오치서숙(烏致書塾)’에서
한학을 수학하였다.
1928년에는 ‘부흥야학원(富興夜學院)’을 설립하여 농민의 자녀를 교육하였고, 1929년에는
‘월진회(月進會)’를
조직하여 농민계몽운동과 농촌부흥운동, 독서회 운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농민독본>을 편찬하여 농촌 청년들에게 농민의
단결과 민족정신의 배양, 애국사상을 고취하는 등 농촌운동에 헌신하였다.
일제의 압박으로 중국으로 망명하면서
가족들을 뒤로 하고 ‘장부출가생불환(丈夫出家生不還, 대장부가 집을 떠나 뜻을 이루기 전에는 살아서 돌아오지 않는다)’이라는 비장한 글을 남긴 채 중국으로 향했다.1931년 상해에 도착한 윤의사는 상해 의거 3일 전인 1932년 4월26일 백범 김구 선생이 이끌던 ‘한인애국단’에 가입하고 거사를 자청하였다. 상해 의거가 개인 자격이 아닌, 민족 전체를 대변하여 의거임을 알린 것이다.“나는 적성(赤誠,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참된 정성)으로써 조국의 독립과 자유를 회복하기 위하여 한인애국단의 일원이 되어 중국을 침략하는 적의 장교를 도륙하기로
맹세하나이다.”
1932년 4월29일, 일왕(日王) 히로히토 생일인 천장절(天長節)을 맞아 일본군의 상해 점령 전승 경축식을 홍구(虹口)공원에서 거행하자 의거를 감행하여 일본의 수뇌부를 폭사시켰다.
윤봉길의사 상해의거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
이동하면서 독립운동 지속…한중수교 이후 1994년 매헌(梅轩) 건립, 1996년부터 의거 기념식 거행 “한중
우호협력의 상징”
윤봉길의사의 상해 의거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운동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으며, 조선과 중국의 항일연대에 크게 기여하였다.
윤의사 의거 이후 일제의 압박이
심해지자 대한민국임시정부는 항주, 가흥, 진강, 광저우 등을 거쳐 충칭으로 이동하면서 독립운동을 지속했다.
의거 직후 현장에서 일경에게 체포된
윤의사는 상해 일본 헌병대에서 가혹한 고문과 취조를 받았으며, 그해
5월 상해 파견 일본 군법회의에서 사형을 언도 받았다.이후 1932년 11월18일
오사카 육군 형무소에 수감되었다가, 12월19일 오전 7시40분 가나자와 미고우시 일본 육군 공병 작업장에서 총탄을 맞고
순국하였다.
윤봉길 의사의 유해는 김구 선생의
요청에 의해 이봉창, 백정기 의사의 유해와 함께 봉환되어 1946년
효창공원 삼의사 묘역에 국민장으로 안장되었다.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의사의 공적을 기려 1962년에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한중 양국 정부는 한중수교 이후 매헌 윤봉길의사의 항일독립운동 정신을 기리기 위해 1994년 상해 의거 현장인 홍구공원(현 루쉰공원)에 기념 건물인 매헌(梅轩)을 건립하였다.이어 1998년 상해 매헌기념관에 윤의사 사적비를 제막하고 전시회를
개최하였으며, 2003년 12월 상해 매헌기념관(윤봉길의사 생애사적 전시관)를 대외 개방했다. 2003년부터 현재까지 상해 매헌기념관을 방문한 한국과 중국 국민은 약
140만 명으로 알려졌다.
한중 양국 정부는 주기적으로 기념관 재보수 공사를 실시하며 의거 현장 보존에 노력하고 있다.
상해의거 기념식, 1996년부터 상해 의거 현장에서 한중 양국 정부
주관 매년 개최
한국과 중국 양국 정부는 1996년부터 매년 상해 매헌기념관에서
의거 기념식을 거행해왔다.
하지만 작년 88주년 상해 의거 기념식은 코로나19 영향으로 공식 기념식은 취소되었으며, 금년 89주년 기념식은 다시 한중 양국 정부 인사와 한인동포들이 참석하여 개최되었다.
특히 매헌윤봉길의사기념사업회는 2004년부터 상해의거 기념일에 즈음하여 매년 ‘매헌 청소년 백일장’을 개최하였다. 금년 백일장 대회는 제19회 대회로 열렸다.
매헌 청소년 백일장은 초창기에는 상해한국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이후 2013년 화동지역 청소년으로 확대하였으며 2014년 제11회 대회부터 참여지역을 중국 전 지역에 거주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확대 개최하였다.
(백일장 수상자 명단: 별도
안내)
제91주년 상해의거 기념식, “내년 한중수교 30주년 및 의거 90주년”4월28일(금) 상해 매헌기념관에서 거행된 제91주년 의거 기념식은 상해총영사관과
상해시 홍구구 인민정부 및 지자체 공공기관을 비롯하여 화동연합회, 민주평통상하이협의회, 상해지역 한인동포단체, 상해한국학교 등 100여명이 참석하여 성대하게 개최되었다.
김준태 기념사업회상해지부 부회장과 좡수웬(庄舒源) 홍구구국제교류중심 주임의 사회로
진행된 상해 의거 기념식은 한국어와 중국어로 동시 통역하며 열렸다.국민의례에 이어 이성섭 기념사업회 상임이사의 약전봉독, 명노승 기념사업회 회장과 장징웬 상해시 홍구구인민정부 판공실 부주임의 기념식사, 김영준 주상하이총영사와 김종호 상해지부 회장의 기념사, 고경이 교민대표의
유시봉독, 한국 역사청소년합창단(단장 박용진)의 ‘윤봉길의사 노래’
‘모리화’ ‘아리랑’ 기념공연, 제19회
백일장 대회 수상자 시상식, 헌화 및 참배 순으로 거행되었다.
명노승 기념사업회 회장은 기념식사에서 “윤봉길의사 의거를
계기로 중국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이끌어 냈으며, 임시정부가 항일운동을 활발하게 전개하여 독립을 이루는
초석을 마련하였다”고 강조했다.
명노승 회장은 이어 “상해 의거 현장을 보존하고 관리하여 주신 상해시와 홍구구정부 관계자 여러분께 거듭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김종호 기념사업회 상해지부 회장은 “의거 기념식 행사에
참석하여 주신 한중 양국 정부와 공공기관, 한국 대표단, 기업인
한인동포 여러분께 감사를 드린다”면서 “매헌 청춘 음악회, 중국 순회 강연회, 매헌 미술대전,
매헌 갤러리 개관 등 다양한 교류활동을 통해 한국과 중국의 관계발전에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달 기자
ⓒ 상해한인신문 shkonews@naver.com
http://blog.naver.com/shkonews
www.shkonews.com
중국 상하이 화동지역코웨이공기청정기 정수기 연수기"당신에게 지금 필요한 물!이젠 중국에서도 안전하게!"매장주소:上海市闵行区虹泉路1000号井亭大厦상해사무실: 021-6446-6890,상해매장: 189-1851-3310소주: 139-1310-1909,무석: 151-6151-5680가흥: 189-1851-3310,곤산,염성: 186-2625-4644
글로리제이GloryJ기업관리센터
세무회계 대행,단원조합 컨설팅주식 융자,상장 컨설팅,자금조달上海市闵行区申滨路36号T4号楼3楼MARIA@GIANTJ.COM연락처: +86-139-1823-3686
중국 상해 남영한국주방용품
주방설비/식당용품/주방용품/생활용품 등한국식당 납품 전문 및 주방용품 도매 전문 업체핸드폰:131-2782-1458/158-2175-7237전화:021-5476-3775주소:上海市闵行区虹泉路1000号井亭大厦1楼(홍췐루 매장)
반석부동산PSI(PS INTERNATIONAL)주택 임대/매매/분양+86-21-6270-0915오피스/상가+86-21-5441-2701한국자산관리컨설팅
世界韩人贸易协会
월드옥타 ‘제24차 세계대표자대회’ 일본 도쿄에서 성료, 4천3백만달러 규모 수출 계약 체결
750만 재외동포 최대 경제네트워크, 제24차 세계대표자대회 18일 개막
월드옥타 공동 주최, 67개국 800여명 참가 “역대 최초 일본에서 개최”
24년째 개최되는 최대 글로벌 한인 경제네트워크, 중소기업
관심 고조
세계한인무역협회, 국회세계한인경제포럼 ‘2023 춘계 세미나’ 공동개최
국제통상전략연구원 “일본 경제전망 및 시장 진출 전략” 세미나 개최금년 10월24일~27일 제27차 세계한인경제인대회,
경기도 수원에서 개최
[아래 사진: 월드옥타
제24차 세계대표자대회, 2023.4.18~4.21 일본
도쿄]<아래 사진: 월드옥타
제24차 세계대표자대회 개회식 4월18일>
<아래 사진: 국회세계한인경제포럼 2023 춘계 세미나 4월18일>
<아래 사진: 국제통상전략연구원
세미나 4월19일>
<아래 사진: 월드옥타
제24차 세계대표자대회 폐회식 4월20일>
\'750만 재외동포 최대 경제 네트워크\' 제24차
세계대표자대회 4월18일 개막, 67개국 800여명 참가 “역대 최초 일본에서
개최”
750만 재외동포 최대 경제단체인 세계한인무역협회(회장
장영식, 월드옥타)가 주최하는 제24차 세계대표자대회가 4월18일
오후 일본 도쿄 뉴오타니호텔에서 성대한 막을 올렸다.
월드옥타가 주최하는 이 대회는 국내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과 모국 투자를 마련하는 자리로
올해는 67개국 142개 도시에서 활동하는 월드옥타 회원 600여명과 국내 중소기업인, 국회와 정부부처, 유관기관 관계자 등 200여명 등 총800여명이 참가했다.
개회식은 국민의례를 시작으로 장영식
회장의 개회사, 성기홍 연합뉴스 사장 환영사와 윤덕민 주일본 특명전권대사, 국회 김영주 부의장, 이원욱 의원,
한무경 의원, 김영환 충청북도지사, 김동연 경기도지사
축사, 산업자원부와 외교부 등 정부 유공자 포상 등이 진행됐다.
개회식에는 윤덕민 주일본대한민국대사관, 국회 김영주 부의장, 설훈 의원,
이원욱 의원, 김병욱 의원, 한무경 의원, 이주환 의원, 고영인 의원, 김동연
경기도지사, 김영환 충북도지사, 김성곤 재외동포재단 이사장, 안경률 국제통상전략연구원장, 김광일 민주평통 일본지역회의 부의장, 월드옥타 김무성 고문, 김정훈 고문 등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이번 행사에는 특별히 월드옥타의
조병태-천용수-고석화-김우재-박기출-하용화 명예회장을 비롯해 이규택-김무성-김정훈-박상은-신현태 고문, 월드옥타 차봉규 이사장과 21대 집행부 주요 임원들이 함께 자리했다.장영식 회장은 개회사에서 “월드옥타는 750만
재외동포의 대표 경제단체이자 애국단체로 조국경제가 어려울 때 함께하며 극복해 나가겠다”고 말하면서 “재외한인 경제발전과 네트워크 활성화를 목표로, 모국 기업과 청년들을 위한 지원에 핵심적 가교 역활을 하는 단체로 성장해나갈 것”을 역설했다.
세계한인무역협회, 국회세계한인경제포럼
‘2023 춘계 세미나’ 공동개최 “세계경제 흐름과 미래지향적 수출전략”
세계한인무역협회와 국회세계한인경제포럼(대표의원 이원욱)은 4월18일(화) 오후 일본 도쿄
게이오호텔에서 2023 춘계 세미나를 공동 개최했다.
이날 포럼은 ‘세계 경제 흐름과
미래지향적 수출전략’을 주제로 국회세계경제인포럼 소속 의원들과 월드옥타 회원 등 경제·통상 관련 단체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이원욱 대표의원은 개회사에서 “한인 경제인들의 경제활동은 물론 한일 양국 사업 주체간의
네트워크 강화에 큰 도움이 될것”이라며, “새로운 통상 비즈니스 아이디어 구상과 각종 사업 현안의 해법을
찾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장영식 회장은 축사를 통해 “지리적으로 가장 가깝고 가장 큰 교역 대상국인 일본에서 최초로 개최되는 포럼에
큰 의미가 담겨 있다”며, “재외 한인 경제인들이 모국의 수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국회차원에서
다양한 정책과 입법활동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는 ▲수출 조기 회복을 위한 코트라 지원 방안 ▲중견기업의 역할과 위상
▲데이터가 주도하는 디지털 혁신과 플랫폼 사업 전략 ▲포럼 활동 및 향후 운영계획에 대한 발표를 통해 재외 한인 경제인들의 지원 방안과 수출 활성화를
위한 사업 현안의 해법제시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됐다.
월드옥타는 향후 국회와 함께 재외
한인경제인의 네트워크 활성와 모국 상품 수출 기여를 위해 지속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해 나갈 계획이다.
국제통상전략연구원, “일본
경제전망 및 시장 진출 전략” 주제로 일본 도쿄에서 세미나 개최 “중소기업 일본시장 진출”
(사)국제통상전략연구원(원장 안경률)이 주최한 2023년
춘계 세미나가 4월19일 오후 일본 도쿄 스미토모 스카이룸에서
개최됐다.
이번 세미나는 국내 중소기업의 일본시장 진출 교훈과 시사점 그리고 현지의 생생한 목소리를
공유하고자 마련됐다.
일본시장에서 한국 제품 특히 식품
수출의 지속적 성장을 이루기 위한 경쟁력을 강화와 차별화된 새로운 전략 수립이 필요성이 강조됐다.
세미나는 와세다 대학 국제학술원
박상준 교수의 ‘일본 경제현황과 한인기업 일본시장 진출 전략’, 코트라 김삼식 본부장의 ‘2023 일본시장 주요 이슈와 유망 수출상품’ 발제에 이어 일본 기업 환경 분석과 제3시장 활용에 대한 자유토론이 이어졌다.
이번 세미나는 일본 경제상황에 대한
이해와 시장 진출 전략을 모색하는 기회가 되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으며, 일본과 새로운 통상관계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주는 계기가 됐다.안경률 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일본 현지 수요가 높은 국내 제품과 식품을 중심으로 우리 기업의 수출 판로 개척에 필요한 현지 정보를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국제통상전략연구원은 세계한인무역협회
산하 연구단체로 지난 2006년 설립돼 3만여 명의 재외동포
무역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글로벌 통상환경에 대한 전략·전술을 마련하는 등 세계 한인 경제공동체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제24차 세계대표자대회 4월20일 폐회식 개최, 중소기업 대상 수출상담회 개최…4천3백만달러 규모 수출 계약 체결
세계한인무역협회가 일본 도쿄에서
개최한 제24차 세계대표자대회가 4월20일 오후 폐회식을 끝으로 나흘간의 일정을 마무리했다.
이번 대회는 세계대표자대회 최초로
해외에서 개최되어 월드옥타 회원 6백 여 명과 국회, 정부, 유관기관 관계자를 포함한 지자체 중소기업 담당자 200여명이 대거
참가하여 성황리에 진행됐다.
대회 첫날인 18일에는 개회식을 비롯해 국회 세계한인경제포럼 춘계세미나, 글로벌
마케터 워크숍, 지회별 MOU 체결식 등이 운영됐다.
19일에는 각 통상위원회별 회의, 일본지역
해외취업자 정착 고민상담회, 국제통상전략연구원 춘계세미나가 개최됐다.
특히, 충북도, 완도군, 금산군
내 경쟁력 있는 4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19일~20일 양일간 진행된 수출상담회에 200여 명의 월드옥타 바이어들이
참가했다.전체 200여건의 수출 상담이 진행됐고, 이중 22건의 MOU 체결로 94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이 이루어졌다. 또한 현장에서 300만 달러의
수출계약을 체결하는 성과를 이뤘다.
4월20일 이사회 및 총회 개최와 폐회식을
끝으로 모든 일정을 마무리했다. 폐회식에는 장영식 회장의 폐회사와 더불어 신규지회와 신임지회장 임명장
수여식이 진행됐다. 이어 올 10월 개최 예정인 제 27차 세계한인경제인대회 개최지를 경기도 수원시로 확정했다.장영식 월드옥타 회장은 폐회사에서 "최초로
해외에서 세계대표자대회가 개최되어 큰 의미가 있었다"며, “초창기
월드옥타와 탄생을 함께한 도쿄에서 팬데믹 이전의 월드옥타 모습을 재현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장영식 회장은 “10월 수원에서 모든 회원과 다시 만날 수 있기를 기원한다”는 제27차
세계한인경제인대회의 기대감을 드러냈다.
제27차 세계한인경제인대회는 올 10월24일터 27일까지 나흘간 경기도 수원시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한편, 세계한인무역협회(월드옥타)는 지난 1981년 모국기업의 수출증대를 통한 모국경제에 기여를 핵심가치로
재외동포무역인들이 창립한 단체이다.협회는 창립이래 모국상품구매운동, 중소기업 해외시장진출, 차세대무역인양성, 모국청년해외취업을 비롯한 모국경제발전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현재 전 세계 67개국 142개
도시에 지회가 설립되어 있으며, 7천여명의 CEO와 2만3천여명의 차세대경제인으로 구성된 재외동포 최대 경제단체이다.
(자료제공: 월드옥타)
이달 기자
ⓒ 상해한인신문 shkonews@naver.com
http://blog.naver.com/shkonews
www.shkonews.com
중국 상하이 화동지역코웨이공기청정기 정수기 연수기"당신에게 지금 필요한 물!이젠 중국에서도 안전하게!"매장주소:上海市闵行区虹泉路1000号井亭大厦상해사무실: 021-6446-6890,상해매장: 189-1851-3310소주: 139-1310-1909,무석: 151-6151-5680가흥: 189-1851-3310,곤산,염성: 186-2625-4644
글로리제이GloryJ기업관리센터
세무회계 대행,단원조합 컨설팅주식 융자,상장 컨설팅,자금조달上海市闵行区申滨路36号T4号楼3楼MARIA@GIANTJ.COM연락처: +86-139-1823-3686
중국 상해 남영한국주방용품
주방설비/식당용품/주방용품/생활용품 등한국식당 납품 전문 및 주방용품 도매 전문 업체핸드폰:131-2782-1458/158-2175-7237전화:021-5476-3775주소:上海市闵行区虹泉路1000号井亭大厦1楼(홍췐루 매장)
반석부동산PSI(PS INTERNATIONAL)주택 임대/매매/분양+86-21-6270-0915오피스/상가+86-21-5441-2701한국자산관리컨설팅

많이 본 뉴스 TOP 5
梅轩尹奉吉义士上海义举91周年纪念仪式‘매헌 윤봉길의사 상해의거 91주년 기념식’ 4월28일
개최 “상해에 핀 매헌의 불꽃” “한중 우호협력”
코로나 영향, 2019년
89주년 기념식 이후 4년 만에 한국 매헌기념사업회 참석
작년 90주년 의거기념식,
상해지역 도시봉쇄로 행사 취소, 2년 만에 상해 개최명노승 매헌기념사업회 회장, 김영준 총영사, 상해시 홍구구정부 등 시민 참석
한국 역사청소년합창단 기념공연, 제19회 한글백일장 대회 수상자 시상식 거행
상해 매헌기념관 2003년 개관 이후 140만명 한중 국민 방문, 한중우호협력 상징
丈夫出家生不還 영원한 청년 윤봉길의사 “91년전 숭고한 독립정신 계승”
[아래 사진: 매헌 윤봉길의사 상해의거 제91주년 기념식, 상해 매헌기념관
2023.04.28]▲상해 매헌기념관 기념식
▲윤석열 대통령 기념화환
▲국민의례
▲<약전봉독> 이성섭 기념사업회 상임이사
▲<기념식사> 명노승 기념사업회 회장
▲<기념사> 사진왼쪽부터, 장징윈(张静韵) 홍구구인민정부 판공실 부주임, 김영준
주상하이총영사, 김종호 기념사업회상해지부 회장
▲한국 역사청소년합창단 공연, 곡명
‘윤봉길의사 노래’ ‘모리화’ ‘아리랑’
▲<헌화 및 참배> 정희천 기념사업회상해지부 1대/4대 회장, 장종섭 기념사업회상해지부 2대/3대 회장
▲기념식 참석자 단체 기념촬영
한국과 중국 양국 국민들에게 ‘항일영웅(抗日英雄)’으로 기억되고 있는 ‘25세 영원한 청년의사’ 매헌 윤봉길의사 상해의거 91주년 기념식이 4월28일(금) 상해 매헌기념관(梅轩纪念馆)에서 한중 공동으로 개최되었다.
4월29일이 의거 기념일이지만, 중국 노동절 연휴가 4월29일(토)부터 5월3일(수)까지 5일간 이어져
하루 앞당겨 기념식이 열렸다.
사단법인 매헌윤봉길의사기념사업회(회장 명노승)가
주최하고 기념사업회상해지부(회장 김종호)가 주관하였으며, 대한민국 국가보훈처와 주상하이대한민국총영사관, 상해시홍구구국제교류중심, 동아일보사가 후원하여 열렸다.
코로나19 영향으로 2019년 89주년 기념식이 개최된 이후 4년 만에 한국 매헌기념사업회 임원들을
비롯한 53명 대표단이 상해를 직접 방문하여 행사에 참여하여 더욱 의미를 더했다.
또한 작년 90주년 의거 기념식은 상해지역 도시 봉쇄로 행사가 취소되었으며, 2년 만에 다시 상해에서 거행되어 한중 양국 정부와 지자체 공공기관, 기업인, 한인동포 등이 참석하며 주목을 받았다.
1932년 4월29일, 매헌 윤봉길의사 상해의거..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독립운동을 세계에
알린 역사적 의거
매헌 윤봉길의사(1908.6.21~1932.12.19)는 충남 예산에서 출생하였다. 1919년 3.1 독립운동이 일어나자 일제의 식민교육을 배척하여 학교를 자퇴하고, 사설
서당인 ‘오치서숙(烏致書塾)’에서
한학을 수학하였다.
1928년에는 ‘부흥야학원(富興夜學院)’을 설립하여 농민의 자녀를 교육하였고, 1929년에는
‘월진회(月進會)’를
조직하여 농민계몽운동과 농촌부흥운동, 독서회 운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농민독본>을 편찬하여 농촌 청년들에게 농민의
단결과 민족정신의 배양, 애국사상을 고취하는 등 농촌운동에 헌신하였다.
일제의 압박으로 중국으로 망명하면서
가족들을 뒤로 하고 ‘장부출가생불환(丈夫出家生不還, 대장부가 집을 떠나 뜻을 이루기 전에는 살아서 돌아오지 않는다)’이라는 비장한 글을 남긴 채 중국으로 향했다.1931년 상해에 도착한 윤의사는 상해 의거 3일 전인 1932년 4월26일 백범 김구 선생이 이끌던 ‘한인애국단’에 가입하고 거사를 자청하였다. 상해 의거가 개인 자격이 아닌, 민족 전체를 대변하여 의거임을 알린 것이다.“나는 적성(赤誠,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참된 정성)으로써 조국의 독립과 자유를 회복하기 위하여 한인애국단의 일원이 되어 중국을 침략하는 적의 장교를 도륙하기로
맹세하나이다.”
1932년 4월29일, 일왕(日王) 히로히토 생일인 천장절(天長節)을 맞아 일본군의 상해 점령 전승 경축식을 홍구(虹口)공원에서 거행하자 의거를 감행하여 일본의 수뇌부를 폭사시켰다.
윤봉길의사 상해의거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
이동하면서 독립운동 지속…한중수교 이후 1994년 매헌(梅轩) 건립, 1996년부터 의거 기념식 거행 “한중
우호협력의 상징”
윤봉길의사의 상해 의거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운동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으며, 조선과 중국의 항일연대에 크게 기여하였다.
윤의사 의거 이후 일제의 압박이
심해지자 대한민국임시정부는 항주, 가흥, 진강, 광저우 등을 거쳐 충칭으로 이동하면서 독립운동을 지속했다.
의거 직후 현장에서 일경에게 체포된
윤의사는 상해 일본 헌병대에서 가혹한 고문과 취조를 받았으며, 그해
5월 상해 파견 일본 군법회의에서 사형을 언도 받았다.이후 1932년 11월18일
오사카 육군 형무소에 수감되었다가, 12월19일 오전 7시40분 가나자와 미고우시 일본 육군 공병 작업장에서 총탄을 맞고
순국하였다.
윤봉길 의사의 유해는 김구 선생의
요청에 의해 이봉창, 백정기 의사의 유해와 함께 봉환되어 1946년
효창공원 삼의사 묘역에 국민장으로 안장되었다.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의사의 공적을 기려 1962년에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한중 양국 정부는 한중수교 이후 매헌 윤봉길의사의 항일독립운동 정신을 기리기 위해 1994년 상해 의거 현장인 홍구공원(현 루쉰공원)에 기념 건물인 매헌(梅轩)을 건립하였다.이어 1998년 상해 매헌기념관에 윤의사 사적비를 제막하고 전시회를
개최하였으며, 2003년 12월 상해 매헌기념관(윤봉길의사 생애사적 전시관)를 대외 개방했다. 2003년부터 현재까지 상해 매헌기념관을 방문한 한국과 중국 국민은 약
140만 명으로 알려졌다.
한중 양국 정부는 주기적으로 기념관 재보수 공사를 실시하며 의거 현장 보존에 노력하고 있다.
상해의거 기념식, 1996년부터 상해 의거 현장에서 한중 양국 정부
주관 매년 개최
한국과 중국 양국 정부는 1996년부터 매년 상해 매헌기념관에서
의거 기념식을 거행해왔다.
하지만 작년 88주년 상해 의거 기념식은 코로나19 영향으로 공식 기념식은 취소되었으며, 금년 89주년 기념식은 다시 한중 양국 정부 인사와 한인동포들이 참석하여 개최되었다.
특히 매헌윤봉길의사기념사업회는 2004년부터 상해의거 기념일에 즈음하여 매년 ‘매헌 청소년 백일장’을 개최하였다. 금년 백일장 대회는 제19회 대회로 열렸다.
매헌 청소년 백일장은 초창기에는 상해한국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이후 2013년 화동지역 청소년으로 확대하였으며 2014년 제11회 대회부터 참여지역을 중국 전 지역에 거주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확대 개최하였다.
(백일장 수상자 명단: 별도
안내)
제91주년 상해의거 기념식, “내년 한중수교 30주년 및 의거 90주년”4월28일(금) 상해 매헌기념관에서 거행된 제91주년 의거 기념식은 상해총영사관과
상해시 홍구구 인민정부 및 지자체 공공기관을 비롯하여 화동연합회, 민주평통상하이협의회, 상해지역 한인동포단체, 상해한국학교 등 100여명이 참석하여 성대하게 개최되었다.
김준태 기념사업회상해지부 부회장과 좡수웬(庄舒源) 홍구구국제교류중심 주임의 사회로
진행된 상해 의거 기념식은 한국어와 중국어로 동시 통역하며 열렸다.국민의례에 이어 이성섭 기념사업회 상임이사의 약전봉독, 명노승 기념사업회 회장과 장징웬 상해시 홍구구인민정부 판공실 부주임의 기념식사, 김영준 주상하이총영사와 김종호 상해지부 회장의 기념사, 고경이 교민대표의
유시봉독, 한국 역사청소년합창단(단장 박용진)의 ‘윤봉길의사 노래’
‘모리화’ ‘아리랑’ 기념공연, 제19회
백일장 대회 수상자 시상식, 헌화 및 참배 순으로 거행되었다.
명노승 기념사업회 회장은 기념식사에서 “윤봉길의사 의거를
계기로 중국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이끌어 냈으며, 임시정부가 항일운동을 활발하게 전개하여 독립을 이루는
초석을 마련하였다”고 강조했다.
명노승 회장은 이어 “상해 의거 현장을 보존하고 관리하여 주신 상해시와 홍구구정부 관계자 여러분께 거듭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김종호 기념사업회 상해지부 회장은 “의거 기념식 행사에
참석하여 주신 한중 양국 정부와 공공기관, 한국 대표단, 기업인
한인동포 여러분께 감사를 드린다”면서 “매헌 청춘 음악회, 중국 순회 강연회, 매헌 미술대전,
매헌 갤러리 개관 등 다양한 교류활동을 통해 한국과 중국의 관계발전에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달 기자
ⓒ 상해한인신문 shkonews@naver.com
http://blog.naver.com/shkonews
www.shkonews.com
중국 상하이 화동지역코웨이공기청정기 정수기 연수기"당신에게 지금 필요한 물!이젠 중국에서도 안전하게!"매장주소:上海市闵行区虹泉路1000号井亭大厦상해사무실: 021-6446-6890,상해매장: 189-1851-3310소주: 139-1310-1909,무석: 151-6151-5680가흥: 189-1851-3310,곤산,염성: 186-2625-4644
글로리제이GloryJ기업관리센터
세무회계 대행,단원조합 컨설팅주식 융자,상장 컨설팅,자금조달上海市闵行区申滨路36号T4号楼3楼MARIA@GIANTJ.COM연락처: +86-139-1823-3686
중국 상해 남영한국주방용품
주방설비/식당용품/주방용품/생활용품 등한국식당 납품 전문 및 주방용품 도매 전문 업체핸드폰:131-2782-1458/158-2175-7237전화:021-5476-3775주소:上海市闵行区虹泉路1000号井亭大厦1楼(홍췐루 매장)
반석부동산PSI(PS INTERNATIONAL)주택 임대/매매/분양+86-21-6270-0915오피스/상가+86-21-5441-2701한국자산관리컨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