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국 전 시안총영사 <한중수교 30년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책자 출간, 1992년 한중수교 이후 30년간 주…
본문
이강국 전 시안총영사 <한중수교 30년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책자 출간
1992년 한중수교 이후 30년간 주요 사안 소개 및 향후 대중국 정책 방향 제시
이강국 전 시안총영사, 상해총영사관 부총영사 등 주중 공관에서 13년7개월 근무
[아래사진: 이강국 전 시안총영사 책자 출간 <한중수교 30년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아래사진: 이강국 전 시안총영사 출간 도서]
▲(사진 왼쪽부터) <대한민국 나침반 역사 속의 위인들>, <일대일로와 신북방 신남방 정책>, <서안 실크로드 역사문화기행>, <상하이 자유무역시험구>
주상하이총영사관 부총영사(2012년) 및 주시안총영사관 총영사(2015년 4월~2018년 10월)를 역임하였던 이강국 전 총영사가 <한중수교 30년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책자를 6월22일 출간하였다.
이강국 전 총영사는 대한민국 외교부를 비롯하여 주중대사관, 주상하이총영사관, 주시안총영사관 등 중국지역 주요 공간에서 13년7개월을 근무한 중국에 정통한 외교 전문가이다.
이강국 전 총영사는 본지와 통화에서 “현재는 성균관대학교에서 학생들에게 강의를 하고 있다”면서 “코로나19 어려움으로 한중간 인적교류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어 아쉽다”고 말했다.
이강국 전 총영사는 “금년은 한중수교 30주년을 맞은 역사적인 해이다. 이번에 발간된 책자를 통해 중국에 거주하는 기업인과 한인동포들이 한중관계 30년을 기억하고, 한중관계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자 소개>
이강국
성균관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졸업과 북경어언문화대학, 중국외교학원, 샌디에고 캘리포니아 주립대학(UCSD) 연수를 하였다.
외무고시(제25회)로 외교부 입부, 외교부 동북아2과 사무관, 주중국대사관 2등서기관, 주상하이총영사관 영사, 외교부 동북아2과 서기관, 주베트남대사관 1등서기관, 외교부 서남아태평양과장, 주말레이시아대사관 공사참사관, 주상하이총영사관 부총영사, 주시안총영사관 총영사를 지냈다.
현재는 성균관대학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이강국 전 총영사는 <상하이 자유무역시험구>(세종도서 선정), ,중국의 新실크로드 전략 일대일로>, <서안 실크로드 역사문화기행>, <일대일로와 신북방 신남방 정책>(세종도서 선정), <대한민국 나침반 역사 속의 위인들> 등의 저서가 있다.
<책 소개>
이 책은 한중관계 30년을 평가한다.
한중수교 배경과 과정, 시기별로 한중관계를 정치-외교
관계, 북한 및 북핵 문제, 경제-통상관계, 사회-문화 관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한중수교 이후 30년 동안의 주요 사안, 한중관계에
영향을 주었던 요소들, 향후 대중국 정책 방향까지 제시하고 있다.
올해는 한국과 중국 양국이 외교관계를 맺은 지 30년이 되는 해이다.
한 세대에 해당하는 30년이 흐르는 동안 양국은 지리적 인접성, 경제적 상호 보완성, 문화적 유사성에 기초하여 급속한 관계 발전을 이룩하였다. 양국관계도
수교 당시 선린우호 협력 관계에서 1998년 협력 동반자 관계,
2003년 전면적 협력 동반자 관계, 2008년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격상되어 왔다.
그렇지만 마늘분쟁, 고구려사 왜곡, 사드 보복
등 비우호적인 일도 발생했다.
그러나 한국은 중국과 계속 공존과
협력의 길을 모색해야 한다. 그리고 한중수교 이후 그동안 우리에게 익숙했던 중국사회가 다른 사회로 급속히
전환되고 미중 패권경쟁이 심각해지고 있음을 인식하고 제대로 인식하고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필자는 외교부 본부에서는 주로 중국 업무 담당과에서 근무하고
주중 공관에서 13년 7개월 근무(연수 2년 포함)하는 등
외교관 생활의 대부분을 중국관계 업무를 해 왔다.
현장 경험을 통해 쓴 이 책을 통해 한중관계를 한 눈에 볼 수 있고 미래를 조망할 수 있다.
먼저 한중 관계 30년을 평가하고 이어서 한중수교 배경과 과정에 대해 기술하였으며, 시기별로 한중 관계를 정치-외교관계, 북한 및 북핵문제, 경제-통상관계, 사회-문화관계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그리고 한중 수교 이후 30년 동안의 주요 사안에 대해 분석하였고, 한중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향후 대중국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책 <한중수교 30년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는 중국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이나 연구자, 그리고 일반 독자들이 한중관계를 이해하고 업무를 추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시중의 화제가 되고있는 중국을 일방적으로 옹호하는 ‘장깨주의’와 비교가 안 되는 중국의 명암, 그 빛과 그늘을 집중 조명한 화제의
책이다.
<목차>
프롤로그
1장 한중관계 30년
평가 및 과제
1.한중관계 발전 평가
2.한중관계 도전과 과제
2장 한중수교 배경 및 과정
1.한중수교 배경
2.한중수교 이전 양국 간 접촉과 협력
3.한중수교 교섭 과정
3장 한중 양국관계 발전 과정
1.선린우호 협력 관계 시기 한중관계
2.협력동반자 관계 시기 한중관계
3.전면적 협력동반자 관계 시기 한중관계
4.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 시기 한중관계
5.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 내실화 시기 한중관계
6.사드 문제 발생 이후 사드 문제 봉합까지의 한중관계
7.사드 문제 봉합 이후 현재까지의 한중관계
4장 한중수교 이후 30년 동안 주요 사안
1.항공협상
2.마늘분쟁
3.고구려사 왜곡문제
4.박근혜 대통령 중국 전승절 참석
5.사드 배치문제
6.사드 ‘3불’문제
7.코로나19 대응문제
5장 한중관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
1.북한 및 북핵문제
2.중국의 부상과 시진핑체제
3.미중 패권경쟁
6장 향후 대중국 정책 방향
1.갈등요인 대응 및 새로운 한중협력 모색
2.경쟁적 경제 관계에 대응 및 안전한 원부자재 공급망 확보
3.인문 유대-공공외교 강화와 반한, 반중 감정
확대방지
4.북한 및 북핵 문제 관련 협조 확보
5.미중 패권경쟁 시대 바람직한 정책 추진
이달 기자
ⓒ 상해한인신문 shkonews@naver.com
http://blog.naver.com/shkonews
글로리제이 GloryJ 기업관리센터
세무회계 대행, 단원조합 컨설팅
주식 융자, 상장 컨설팅, 자금조달
上海市闵行区申滨路36号T4号楼3楼
MARIA@GIANTJ.COM연락처: +86-139-1823-3686
중국 상하이 화동지역 코웨이 공기청정기 정수기 연수기
"당신에게 지금 필요한 물! 이젠 중국에서도 안전하게!"
매장주소: 上海市闵行区虹泉路1000号井亭大厦
상해사무실: 021-6446-6890, 상해매장: 189-1851-3310
소주: 139-1310-1909, 무석: 151-6151-5680
가흥: 189-1851-3310, 곤산,염성: 186-2625-4644
한국인 구인구직 KOTRA 人才网
중국지역 한국인 및 중국인 채용정보
KOTRA 코트라 상하이무역관
연락처: +86-21-2108-8771(#140)
대성국제물류이삿짐서비스
해외이사 시내장거리 사무실 보관서비스
연락처: +86-188.0185.1224
+86-21.5473.0571(중국)
+82-2.338.4946(한국)
중국 상해 남영한국주방용품
주방설비/식당용품/주방용품/생활용품 등
한국식당 납품 전문 및 주방용품 도매 전문 업체
핸드폰:131-2782-1458/158-2175-7237
전화:021-5476-3775
주소: 上海市闵行区虹泉路1000号井亭大厦1楼(홍췐루 매장)
반석부동산 PSI(PS INTERNATIONAL)
주택 임대/매매/분양
+86-21-6270-0915
오피스/상가 +86-21-5441-2701